2015년 5월 19일 화요일

데이터 이전하기


<데이터 이전하기 >

1. 이전할 메일 환경 셋팅하기 

- 데이터 이전 서비스에서는 IMAP을 사용해 Google Apps 및 무료 Gmail 계정에서 데이터를 이전하므로 사용자가 계정에 IMAP 액세스를 사용 설정해야 데이터를 이전할 수 있습니다.
- 계정에서 2단계 인증을 사용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이전하는 데 사용합니다.
- Google Apps 도메인에서 이전하는 경우 안내에 따라 Google Apps용 IMAP을 사용 설정합니다.
- 무료 Gmail 계정에서 이전하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1. Gmail 계정에 로그인합니다.
2. 오른쪽 상단의 톱니바퀴 아이콘 을 클릭합니다.
3. 환경설정을 선택합니다.



4. 전달 및 POP/IMAP을 클릭합니다.
5. IMAP 사용을 선택합니다.
6. 변경사항 저장을 클릭합니다.


2. 관리콘솔- 데이터이전 진행하기

1. Google 관리 콘솔에 로그인하여, 이전을 클릭합니다.


1.관리콘솔_데이터이전.jpg

 
2. 어디에서 이전하십니까? 드롭다운 목록에서 Gmail을 선택하고 연결을 클릭합니다.



 3. 이전 기간을 선택하고 삭제된 메일 및 스팸메일 이전 여부와 특정 폴더를 이전에서 제외할지 여부를 선택한 다음 사용자 선택을 클릭합니다.



4. Gmail 계정을 이전하려는 사용자 옆의 체크박스를 선택합니다.


2.데이터이전_이전대상주소 셋팅.jpg

5. IMAP 이메일 입력란에 사용자의 Gmail 주소를 입력하고 승인을 클릭합니다.

3.사용자 정보입력.jpg


6. 승인 필요 대화상자를 검토하고 제공된 링크를 클릭합니다.

4.데이터이전_승인교육.jpg
7. 참고: Gmail 계정 소유자에게 Gmail에 로그인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8, Gmail 계정 소유자는 본인 메일을 보고 관리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요청을 검토하고 수락을 클릭해야 합니다.



4.데이터이전_승인링크_동의.jpg
9. 제공된 코드를 복사합니다.

5.데이터이전_승인코드확인.jpg


10. 복사한 코드를 관리 콘솔의 승인 코드에 붙여넣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6.데이터이전_승인코드입력_확인.jpg





11. 이전을 시작합니다.


7.데이터이전_이전진행.jpg



2015년 5월 14일 목요일

드래그 앤 드롭하여 이미지 및 파일 추가하기

< 드래그 앤 드롭하여 이미지 및 파일 추가하기 >


1. 이메일에서 파일 추가하기



  • 메일에서 [편지쓰기]를 클릭합니다.
  • 새 메일쓰기 창에서 내 PC나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1.PNG


  • 내 PC에 있는 파일을 드래그 앤 드롭하여 파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추가할 파일을 선택하고 메일쓰기 창으로 드래그 합니다.


2.PNG

  • 메일쓰기 창에 파일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PNG



2. 드라이브에서 파일 추가하기


  • 내 드라이브에서 파일 업로드를 하면 팝업 창이 뜨면서 내 PC에 있는 파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6.PNG


  • 내 드라이브에 [테스트] 폴더 안에 드래그 앤 드롭하여 파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추가할 파일을 선택하고 드라이브로 드래그 합니다.

4.PNG

  • 내 드라이브에 [테스트] 폴더 안에 파일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PNG



2015년 4월 29일 수요일

Google+ 프로필 이름 만들때 유의사항


< Google+ 프로필 이름 만들때 유의사항 >


- 성과 이름(권장): 성과 이름 모두를 Google+ 프로필에 추가해야 합니다. 도움말: 프로필에 성이나 이름 중 하나를 이니셜로 쓸 수 있지만 둘 다를 이니셜로 쓸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Larry P.'는 가능하지만 'L.P.'는 안 됩니다.

이름 변경 횟수 제한: 이름을 만들거나 수정한 후 다시 이름을 변경하려면 3개월을 기다려야 할 수도 있습니다. 최근 언제 프로필을 만들었는지 그리고 언제 마지막으로 이름을 변경했는지에 따라 다시 변경할 수 있는 시기가 달라집니다.
-> 90일마다 이름을 세 번 변경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이름을 세 번 변경했는데 다시 변경하려면 3개월을 기다려야 합니다.

닉네임(선택사항): 성과 이름과 함께 닉네임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John 'Moose' Davis 또는 John Davis(Moose)라고 입력할 수 있습니다.

명의도용 금지: 다른 사람을 사칭하면 프로필이 정지될 수 있습니다.

2015년 4월 20일 월요일

캘린더 활동 내역 조회

< 캘린더 활동 내역 조회 >

  1.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관리]를 클릭합니다.

1.png

2. [관리콘솔] 에서 [보고서]를 클릭합니다.

2.png

3. 왼쪽 메뉴에서 [캘린더]를 클릭합니다.

3.png

그러면, 캘린더의 활동 내역이 보여집니다.

5.png


4. 캘린더  ID를 입력하면 해당 사용자가 포함되어 있는 활동 내역만 볼 수 있습니다.

4.png


캘린더 ID는 [캘린더설정] - [캘린더 세부정보]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6.png

7.png

5. 캘린더 ID를 입력하면 해당 사용자가 포함되어 있는 활동내역만 보여집니다.


8.png


2015년 4월 19일 일요일

캘린더 일정 추가 및 초대장 발송


< 캘린더 일정 추가 및 초대장 발송 >


1.캘린더에서 왼쪽 상단의 [만들기]를 클릭하여 새로운 일정을 추가합니다.

1.png

2. 제목, 장소, 설명 등을 입력하고, 해당 일정의 참석자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3.png

3. 참석자를 추가하고 [저장]을 누르면 참석자의 메일로 초대장을 보낼 수 있습니다.

4.png

4. 참석자의 메일에서 초대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참석 여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5.png


5. 일정을 삭제하면 참석자에게 취소 안내를 할 수 있습니다.

7.png

6. 참석자는 취소된 일정을 메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6.png


사이트관리 활동이력 조회


< 사이트관리 활동이력 조회 >

우선, 아래와 같이 [게시판]에 새로운 게시물을 등록하고, [삭제]해 보세요.

2.png

[자료실]에 파일도 올려보고, [삭제]해 보세요.
3.png


그리고, [사이트 관리]에서 위의 활동들의 이력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1. [설정] - [사이트 관리]를 선택합니다.

1.png
2. 왼쪽 메뉴 ‘최근 사이트 활동’ 에서 위의 활동의 이력을 모두 볼 수 있습니다.

5.png

4.png

3. 왼쪽 메뉴에서 각 [페이지] 및 [첨부파일] 등도 조회할 수 있으며,
   [삭제된 항목] 에서 삭제한 내역을 [복구] 할 수도 있습니다.

7.png

2015년 3월 25일 수요일

구글 드라이브의 숨겨진 5가지 트릭

< 구글 드라이브의 숨겨진 5가지 트릭 >

1. 오프라인으로 작업하기


인터넷에 접속되지 않는 곳에서 작업해야 할 때가 있다. 다행히도 구글 드라이브는 '오프라인' 모드를 지원하며, 문서를 만들거나 편집할 수 있다.

드라이브 > 설정
오프라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해야 한다. 구글 드라이브 화면에서 오른쪽 코너 쪽에 있는 설정(기어 모양)을 클릭한다. '일반사항' 섹션을 보면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파일을 수정할 수 있도록 Google 문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및 드로잉 파일을 이 컴퓨터에 동기화한다”라는 체크박스에 체크 표시를 한다. 이제 인터넷 연결 없이도 크롬의 구글 드라이브에서도 작업할 수 있으며, 온라인으로 다시 연결되면 모든 데이터가 동기화된다.

2. 구글 문서에서 링크 검색하기

일반적으로 문서에 링크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새로운 브라우저 탭을 열고, 링크하고자 하는 페이지를 검색한 뒤, URL을 복사해서 텍스트에 링크를 거는 과정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구글 드라이브의 경우 구글 검색이 바로 내장돼 있어 한 곳에서 링크를 삽입할 수 있다. 링크를 걸고자하는 텍스트에 강조 표시한 뒤(블록으로 잡고) '삽입>링크'를 클릭하고(오른쪽버트>링크) 나서 하단에 표시된 대화 상자에 검색어를 입력한다. 텍스트와 일치하는 목록에서 원하는 링크를 하나 선택하고 '적용' 버튼을 누른다.

3. 변경 내역 추적하기
구글 드라이브는 문서,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 드로잉에서 변경한 모든 것을 간단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필요하다면 이전 버전으로도 복구할 수 있다.
문서, 스프레드시트, 슬라이드, 드로잉 파일의 변경 히스토리를 보고자 한다면 '파일>업데이트 기록보기'를 선택한다. 그러고 나서 오른쪽의 업데이트 기록 패널에서 파일 버전들을 볼 수 있다. 타임스탬프 아래에는 파일을 누가 편집했는지 알 수 있도록 이름이 보인다. 각 편집자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깔로 표시된다.
한편, 세분화된 버전을 보고 싶다면 업데이트 기록 패널의 하단에 있는 '버전 자세히 보기' 버튼을 클릭한다. 현재 보고 있는 버전으로 복구하고자 한다면 해당 버전을 선택하고 나서 '버전 복원'을 클릭한다.
4. 웹 클립보드 사용하기
구글 문서, 스프레드시트, 슬라이드 간의 데이터 복사와 붙여넣기를 가능하게 해주는 클립보드 기능도 있다.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클립보드와는 달리, 구글 계정과 데이터가 연동되므로 동시에 여러 개의 클립보드 데이터를 보유할 수 있다. 또한, 모든 기기에서 이 클립보드 데이터에 접근도 가능하다.
웰 클립보드를 사용하고 싶다면 원하는 텍스트, 그림 등의 데이터를 선택한 뒤, '수정>웹 클립보드>웹 클립보드로 선택항목 복사'를 선택한다. 이제 다시 '수정>웹 클립보드'를 보면 해당 데이터가 메뉴에 추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클립보드 항목이 너무 많다면 '모든 항목 지우기'를 클릭하기만 하면 된다. 30일 내로 액세스 되지 않은 데이터는 자동으로 삭제된다.
5. 웹으로 퍼블리싱하기
구글 드라이브의 공유 기능은 일부 사용자에게만 접근 권한을 줄 때 유용하다. 그렇다면 대중을 대상으로 글을 공개하고자 한다면? 드라이브의 '웹에 게시' 기능을 이용하면 된다.
문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또는 드로잉 파일을 게시하고자 한다면, '파일>웹에 게시'를 선택한다. 특정 종류의 파일은 메뉴에서 커스텀화된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스프레드시트의 경우, 전체 문서나 시트별로 게시할 수 있고, 프레젠테이션의 슬라이드 속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드로잉 파일의 이미지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게시' 버튼을 누르고, 파일을 보여주고 싶은 이들에게 링크를 보내면 된다.
만약 원본 파일을 새로 업데이트했을 때 게시된 파일에도 변경 내용을 반영하고자 한다면, '파일>웹에 게시'를 선택한 뒤, 하단에 있는 '파일이 수정되면 자동으로 다시 게시' 체크박스에 표시한다. 파일 게시를 중지하고 싶다면 '게시 중지' 버튼을 누르면 된다.